본문 바로가기

ETC

(15)
[취준 꿀팁] 잡다로 역량검사를 JOBDA "원하는 직장을 잡다. "잡다" 역량검사" 잡다 | 역량검사 역검 게임, 역검 연습, 역검 후기까지 역량검사에 대한 모든 것을 확인하고 역검에 응시해보세요. www.jobda.im 대한제당 서류 통과었고 역량검사가 JOBDA로 진행되었다. 역량검사는 크게 1. 나 알아보기 검사 (== MBTI) 2. 게임 검사 (==IQ) 3. 영상면접 로 구성되어 있다. 1), 2) 의 경우 연습한다고 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그저 솔직하게 빠른 속도로 답을 내리는게 중요하다. 반면, 3)은 미리 준비하는 것이 당연히 좋을 것이며 취준생이라면 서류 접수와 동시에 면접 질문들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잡다" 는 튜토리얼 페이지를 제공한다. 잡다로 역량 테스트를 받는 모든 구직자들은 잡다 역검 응시 사이트에서 미리 연습해 보..
기술면접 대비 1. 운영체제 질문목록 https://chanhuiseok.github.io/posts/cs-3/ [운영체제] 한번에 모아보는 면접대비 운영체제 질문 목록들 면접 전공 지식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운영체제 파트에서 나올만한 문항들을 핵심만 간추려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chanhuiseok.github.io
프로세스와 스레드 0. 개요 - 프로세스 :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 받은 작업의 단위 - 스레드 : 프로세스가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 흐름의 단위 1. 프로세스 프로그램이란? -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파일 (*.exe, *dmg...) - 파일을 실행하지 않은 상태를 정적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 자바, C언어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코드로 작성된 코드 덩어리이다. 프로세스란? - 정적 프로그램을 실행 시켜 동적 프로그래밍으로 변해 컴퓨터가 작업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 모든 프로그램은 운영체제가 실행하기위해 메모리 공간을 할당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순간 메모리에 올라가게 된다. - 운영 체제는 시스템 자원 (CPU)를 할당받아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시킨다. 프로세스의 한계 - ..
자바에서 스택과 힙 0. 개요 - Java의 메모리 관리 - 스택과 힙 영역 - Wrapper 클래스와 Immutable Object - Garbage Collection 1. 자바의 메모리 관리 자바에서 스택 영역에 할당되는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 원시 타입 데이터 : 데이터 값이 저장된다. byte, short, int, long, double, float, boolean, char - 참조 타입 변수 : Heap 영역에 생성된 Object 타입 데이터들의 참조 값이 저장된다. 또한 스택 영역에는 지역 변수들이 할당되며 scope에 따른 visibility를 가진다. - 스택 메모리의 top에 존재하는 하나의 스택 프레임만 활성화되어 그 이전에 존재하는 스택 프레임은 모두 비활성화된다. - 즉, 비활성화된 스택 프레..
메모리의 구조 메모리의 구조 : - 프로그램의 실행은 먼저 메모리에 로드 되는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또한 프로그램이 사용할 변수들을 저장할 메모리도 필요합니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 다양한 메모리 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코드 영역, 데이터 영역, 스택 영역, 힙 영역이라 합니다. - 코드 영역 : 프로그램을 실행할 텍스트 코드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CPU는 코드 영역의 명령어를 하나씩 가져와 처리합니다. - 데이터 영역 : 프로그램의 전역 변수와 정적 변수가 저장됩니다. 프로그램이 시작 될 때 함께 할당되고 종료될 때 소멸합니다. - 스택 영역 : 함수의 호출과 관련된 지역변수, 매개변수, 반환 주소값이 저장됩니다. 함수의 호출과 함께 할당되고 함수가 완료될 때 소멸합니다. 이러한 함수의 호..
오버헤드, 스택 오버 플로우 참고) overhead란? - 오버헤드는 프로그램 실행 흐름에서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동떨어진 위치의 코드가 실행하여 추가적인 시간, 메모리, 자원을 소요하는 현상이다. - 즉, 오버헤드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간접적 시간, 메모리 자원을 의미한다. 스택 오버 플로우 - 함수를 호출 하면 메모리의 콜 스택 영역에 매개변수, 지역변수, 반환주소값이 저장된다. - 재귀 함수의 경우 차곡차곡 쌓인 콜 스택이 하나 하나 씩 수행 하며 사라진다. - 메모리의 한계까지 콜 스택이 쌓일 경우 자바에서는 StackOverflowError가 발생하고 파이썬에서는 RecursionError가 발생한다. 참고) 콜스택과 프로세스 힙 - 프로그램의 변수는 주로 콜 스택과 프로세스 힙에..
[SQL] 일단 시작해보기 - 가장 자주 쓰는 DML 위주 1. 개요 SQL이란? - Structured Query Language : 구조적 질의 언어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RDBMS)의 자료를 관리, 처리를 위해 고안된 언어 - IBM에서 최초 개발(1970년대)되어 관계형 모델 이론에서 파생됨 - SQL 표준으로 ANSI SQL이 정립됨, 각 DBMS는 ANSI SQL을 기반으로 서로 근소한 차이를 지님 SQL 문법의 종류 - DDL :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 언어, 각 릴레이션을 정의함. (CREATE, ALTER, DROP...) - DML :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 언어, 데이터의 관리(추가/수정/삭제)를 위한 언어 (SELECT, INSERT, UPDATE, .....
[스프링 데이터베이스] H2와 두루두루 설정하기 0. 개요 H2란? - 자바로 작성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RDBMS) - 스프링 부트가 지원하는 인메모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인 메모리이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을 재기동 때마다 초기화 - 로컬 환경과 테스트 환경에서 주로 쓰임 H2의 장점 - 추가적 설치 없이 사용할 수 있다. - 용량이 가볍다. - 웹 콘솔을 제공해 개발용 로컬 DB로 사용하기 용이하다. 1. H2DB의 3 가지 모드 외부 터미널로 h2.sh를 싱행 또는 h2.jar를 실행 시켜야 하는 Server Mode와 달리 Embedded Mode와 In-Memory Mode는 공식 사이트로부터 h2를 다운로드 하지 않아도 스프링 부트 내에서 의존성을 추가해주는 것 만으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Embedded M..